컴퓨터구조 4

[컴퓨터 구조] Register

1. RegisterRegister는 CPU내부에 위치한 기억장치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명령어와 데이터는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2. Register 종류Register의 종류는 다양하다. 프로그램 카운터명령어 레지스터메모리 주소 레지스터메모리 버퍼 레지스터플래그 레지스터범용 레지스터스택 포인터이외에도 더 많은 레지스터가 있지만, 우리는 이 7가지만 공부해 보겠다. 1)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2) 명령어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IR)PC에서 넘어온 명령어 주소를 바탕으로 어떤 명령어를 실행할지 저장하는 공간이다.  3)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

컴퓨터구조 2025.03.17

[컴퓨터 구조] Hamming Code

1. Hamming Codedata를 송신할 때 1001 0101 이런 데이터를 보냈는데 받을 때 에러가 생겨 1101 0101 으로 data를 받았다고 하자. 이런 일은 당연하게도 일어나면 안 되는 것이다.  data bit가 하나라도 의도와 달라지면 우리가 원하는 data를 얻지 못한다.  그래서 data를 보낼 때 몇개의 bit를 추가로 보내어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까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Hamming code다. 2. Hamming Code 작동 방식hamming code는 송신한 data와 4개의 parity bit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 검출 방법검출 방법은 간단하다. 위의 표대로 방법만 따라가면 된다. ① parity bit 검출P1을 구하기 위해서는 위 표에서 X표시된 ..

컴퓨터구조 2025.01.04

[컴퓨터 구조] memory

1. memory컴퓨터 구조에서 memory란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해당 정보들이 memory라는 공간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memory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주소를 사용한다.  간단하게 예시를 보자.memory에는 주소가 있고 그 주소로 접근할 수 있다.  1000, 1004 주소에는 단순한 data가 저장되어 있다. 1008 주소에는 1000번지 주소를 가리키는 data가 저장되어 있다. 100C 주소에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이렇게 memory는 주소로 접근이 가능하고 프로그래밍이 실행되기 위한 data나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면 우리는 이 memory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명령어를 내리면서 프로그램..

컴퓨터구조 2025.01.02

[컴퓨터 구조] cache memory

1. cache memorycache는 CPU core와 memory 사이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 두는 저장소이다. cpu에서 main memory로 데이터를 요청하면 그 시간만큼 clock cycle이 소모된다. 또한 속도가 빠른 CPU와 느린 메모리의 속도차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더 가까운 곳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cache는 L1, L2, L3 cache로 나뉜다. L1은 d-cache, i-cache로 나뉘는데 각각 data, 명령어를 저장하는 cache다. CPU 제조사 마다 L1 또는 L2가 core 내부에 위치할 수도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memory hierarchy 참고링크 :2. localitycache를 저장할 때는 ..

컴퓨터구조 2025.01.02
반응형